본문 바로가기
정보/부동산

상가 세금 총정리 (양도세, 보유세, 취득세, 종소세)

by 생활원 2025. 1. 16.
반응형

부동산 투자는 매수부터 매도까지 세금을 철저히 고려해야 합니다. 상가를 포함한 상업용 부동산 역시 예외는 아닙니다. 이번 글에서는 상가 매수, 보유, 매도 단계에서 발생하는 주요 세금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상가 매수 시 발생하는 세금

취득세
상가 매수 시, 취득가격의 4.6%를 취득세로 납부해야 합니다. 

이는 토지와 건물을 포함한 전체 취득가액을 기준으로 하며 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취득세: 4%
농어촌특별세: 0.2%
지방교육세: 0.4%

취득세 계산법:
납부기간: 잔금일 또는 등기일 중 빠른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신고 및 납부해야 합니다.

 

부가가치세
건물분에 대해 10%의 부가가치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단, 일반과세자로 사업자등록 시 납부한 부가세를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포괄양도양수 계약 시 부가가치세 납부 및 환급 절차가 생략됩니다.
▶경매 낙찰 시
경매로 낙찰받은 경우, 부가가치세는 부과되지 않습니다.

 


2. 상가 보유 시 발생하는 세금

재산세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상가를 보유한 사람에게 부과됩니다.
재산세 세율:건물분: 0.25% 토지분: 0.2~0.4%
납부 시기: 건물분: 7월, 토지분: 9월

종합부동산세 (종부세)
상가는 건물분에 대해 종부세가 부과되지 않으며, 토지분만 과세됩니다.
별도합산 토지의 공시가격 합계가 80억 원 초과 시 종부세 과세 대상이 됩니다.

상가 임대소득세
임대소득은 종합소득세 과세 대상입니다.
간주임대료에 대한 부가가치세가 부과되며, 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반과세자: 10% 간이과세자: 4%
소득세율 (종합소득세): 6~45% 과세표준에 따라 차등 적용됩니다.

 

3. 상가 매도 시 발생하는 세금

 

부가가치세
건물분에 대해 부가가치세를 납부해야 하며 일반과세자는 10%, 간이과세자는 3%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포괄양수도 계약 시 부가세가 면제됩니다.

양도소득세
양도소득세는 상가 매각 시 발생하는 차익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과세표준 계산법: 세율: 6~45% (과세표준 구간별로 적용)

 장기보유특별공제: 3년 이상 보유 시 공제가 가능하며, 최저 6%에서 최대 30%까지 적용됩니다.

장기보유 특별공제는 아래 절세팁에서 확인하세요

상가 투자시 양도세는 상가를 취득하여 팔때 내는 세금으로 차익이 발생할때

납부해야 하는 세금으로 차익이 발생하지 않았다면 납부할 필요가 없습니다.

양도소득세 계산 예시:
양도차익: 9,000만 원
장기보유특별공제 (5년 보유): 10% 적용
기본공제: 250만 원
지방소득세: 양도소득세의 10%를 추가로 납부해야 합니다.

 


4. 절세 팁


포괄양수도 계약 활용: 부가가치세 절약. 장기보유: 3년 이상 보유 시 장기보유특별공제 혜택.

장기보유특별공제는 오래 보유할수록 양도소득세를 절세해주는 제도입니다.

예를들어 양도소득세 금액이 1억이면 3년보유시 1억의 6%만큼이 공제되고 세금이 발생합니다.

세무사 상담: 매도 시점에 따라 절세 방안을 마련.


부동산 투자에서 세금은 시작과 끝입니다. 

상가 투자 시 발생하는 세금을 정확히 이해하고 철저히 준비하면 세금으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의 조언을 바탕으로 올바른 투자 결정을 내리세요. 상가 투자 성공의 핵심은 철저한 계획과 절세 전략입니다!

반응형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