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투자는 매수부터 매도까지 세금을 철저히 고려해야 합니다. 상가를 포함한 상업용 부동산 역시 예외는 아닙니다. 이번 글에서는 상가 매수, 보유, 매도 단계에서 발생하는 주요 세금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상가 매수 시 발생하는 세금
취득세
상가 매수 시, 취득가격의 4.6%를 취득세로 납부해야 합니다.
이는 토지와 건물을 포함한 전체 취득가액을 기준으로 하며 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취득세: 4%
농어촌특별세: 0.2%
지방교육세: 0.4%
취득세 계산법:
납부기간: 잔금일 또는 등기일 중 빠른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신고 및 납부해야 합니다.
부가가치세
건물분에 대해 10%의 부가가치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단, 일반과세자로 사업자등록 시 납부한 부가세를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포괄양도양수 계약 시 부가가치세 납부 및 환급 절차가 생략됩니다.
▶경매 낙찰 시
경매로 낙찰받은 경우, 부가가치세는 부과되지 않습니다.
2. 상가 보유 시 발생하는 세금
재산세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상가를 보유한 사람에게 부과됩니다.
재산세 세율:건물분: 0.25% 토지분: 0.2~0.4%
납부 시기: 건물분: 7월, 토지분: 9월
종합부동산세 (종부세)
상가는 건물분에 대해 종부세가 부과되지 않으며, 토지분만 과세됩니다.
별도합산 토지의 공시가격 합계가 80억 원 초과 시 종부세 과세 대상이 됩니다.
상가 임대소득세
임대소득은 종합소득세 과세 대상입니다.
간주임대료에 대한 부가가치세가 부과되며, 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반과세자: 10% 간이과세자: 4%
소득세율 (종합소득세): 6~45% 과세표준에 따라 차등 적용됩니다.
3. 상가 매도 시 발생하는 세금
부가가치세
건물분에 대해 부가가치세를 납부해야 하며 일반과세자는 10%, 간이과세자는 3%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포괄양수도 계약 시 부가세가 면제됩니다.
양도소득세
양도소득세는 상가 매각 시 발생하는 차익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과세표준 계산법: 세율: 6~45% (과세표준 구간별로 적용)
장기보유특별공제: 3년 이상 보유 시 공제가 가능하며, 최저 6%에서 최대 30%까지 적용됩니다.
장기보유 특별공제는 아래 절세팁에서 확인하세요
상가 투자시 양도세는 상가를 취득하여 팔때 내는 세금으로 차익이 발생할때
납부해야 하는 세금으로 차익이 발생하지 않았다면 납부할 필요가 없습니다.
양도소득세 계산 예시:
양도차익: 9,000만 원
장기보유특별공제 (5년 보유): 10% 적용
기본공제: 250만 원
지방소득세: 양도소득세의 10%를 추가로 납부해야 합니다.
4. 절세 팁
포괄양수도 계약 활용: 부가가치세 절약. 장기보유: 3년 이상 보유 시 장기보유특별공제 혜택.
장기보유특별공제는 오래 보유할수록 양도소득세를 절세해주는 제도입니다.
예를들어 양도소득세 금액이 1억이면 3년보유시 1억의 6%만큼이 공제되고 세금이 발생합니다.
세무사 상담: 매도 시점에 따라 절세 방안을 마련.
부동산 투자에서 세금은 시작과 끝입니다.
상가 투자 시 발생하는 세금을 정확히 이해하고 철저히 준비하면 세금으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의 조언을 바탕으로 올바른 투자 결정을 내리세요. 상가 투자 성공의 핵심은 철저한 계획과 절세 전략입니다!
'정보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 매매 세금 총정리!(취득세, 양도세,보유세) (4) | 2025.01.31 |
---|---|
상가 투자 수익률 계산, 적정 가격, 투자 시 주의 사항! (0) | 2025.01.26 |
갭투자 뜻, 투자 방법, 인기 지역 총정리! (2) | 2024.12.16 |
재개발 재건축 차이와 투자시 고려 사항! (3) | 2024.12.13 |
등기부등본 인터넷 발급, 열람하는 방법!! (0) | 2024.07.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