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정보
반응형
383

국가(나라)별 수도 -아시아(Asia) 안녕하세요. 오늘은 세계 나라별 수도 중에 아시아의 수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시아는 우리나라가 속해 있는 대륙으로 동반구 북부에 있으며 유라시아 대륙 중부와 동부를 차지하는 세계 최대의 대륙입니다. 크기가 가장 크고 인구가 가장 많은 대륙으로 전 세계 육지의 32%를 차지하고 있으며 웅장한 산맥들이 솟아 있고 해안선이 가장 긴 것이 특징입니다. 아시아(asia)의 수도 (국가 ㅡ 수도) 1. 네팔 ㅡ 카트만두 2. 대만 ㅡ 타이베이 3. 대한민국 ㅡ 서울 4. 몽티모르 ㅡ 딜리 5. 라오스 ㅡ 비엔티안 6.. 말레이시아 ㅡ 쿠알라룸푸르 7. 몰디브 ㅡ 말레 8. 몽골 ㅡ 울란바토르 9. 미얀마 ㅡ 네피도 10. 방글라데시 ㅡ 다카 11. 베트남 ㅡ 하노이 12. 부탄 ㅡ 팀푸 13. 북한 ㅡ 평양 .. 2022. 10. 14.
맞추다 vs 맞히다 뜻 차이와 예시로 쉽게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일상생활에서 대화를 하거나 문자, 카톡 등을 하다 보면 자주 틀리거나 헷갈리는 맞춤법들이 많이 있습니다. 오늘 알아볼 맞춤법은 와 입니다. 맞추다와 맞히다는 모두 올바른 맞춤법입니다. 언제 '맞추다'를 쓰고 '맞히다'를 쓰는지 간단하고 쉽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맞추다 1. 서로 떨어져 있는 부분을 제자리에 맞게 대어 붙이다. 2. 둘 이상의 일정한 대상들을 나란히 놓고 비교하여 살피다. 3. 서로 어긋남이 없이 조화를 이루다. 4. 어떤 기준이나 정도에 어긋나지 아니하게 하다. 5. 어떤 기준에 틀리거나 어긋남이 없이 조정하다. 6. 일정한 수량이 되게 하다. 7. 다른 사람의 의도나 의향 따위에 맞게 행동하다. 8. 약속 시간 따위를 넘기지 아니하다. 9. 일정한 규격의 물건을 만들도록.. 2022. 10. 9.
가게 가계 뜻 차이 예시 올바른 맞춤법 사용!! 일상생활에서 대화를 하거나 문자, 카톡 등을 하다 보면 자주 틀리거나 헷갈리는 맞춤법들이 많이 있습니다. 오늘 알아볼 맞춤법은 과 입니다. 한 끗 차이로 뜻이 확연하게 달라지는 단어라서 자칫 잘못 사용하게 되면 완전히 다른 의미를 전달할 수 있어서 확실한 뜻을 알아보겠습니다. 가게 1. 작은 규모로 물건을 파는 집. 2. 길거리에 임시로 물건을 벌여 놓고 파는 곳. 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게 예시 1. 가게 앞 주차금지. 2. 가게 건너편으로 와. 3. 여기 반찬가게는 장조림이 맛있어. ​ 가계 1. 한집안 살림의 수입과 지출의 상태. 2. 집안 살림을 꾸려 나가는 방도나 형편. 3. 소비의 주체로 ‘가정’을 이르는 말. 가계 예시 1. 가계의 부채가 늘고 있다. 2. 가계 대출. 3. 이번에 시작.. 2022. 9. 17.
24절기란?? (입춘, 입하, 입추, 입동 등) 안녕하세요. 무더운 여름이 엊그제 같은데 벌써 가을 날씨가 됐습니다. 계절을 나타낼 때 보통 입춘, 입하, 입추, 입동이라는 단어를 많이 사용합니다. 오늘은 24절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4절기란? 태양의 황도상 위치에 따라 계절적 구분을 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황도에서 춘분점을 기점으로 15° 간격으로 점을 찍어 총 24개의 절기로 나타낸 것입니다. 쉽게 말해 태양의 위치에 따라 1년을 24개로 나누어 봄, 여름, 가을, 겨울로 계절을 나타낸 것으로 양력을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1. 입춘(立春) 시기: 양력 2월 3,4일 또는 5일 봄의 시작 2. 우수(雨水) 시기: 양력 2월 18일 또는 19일 비가 내리고 싹이 틈 3. 경칩(驚蟄) 시기: 양력 3월 5일 또는 6일 개구리가 잠에서 깸.. 2022. 8. 28.
대물림 vs 되물림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일상생활에서 대화를 하거나 문자, 카톡 등을 하다 보면 자주 틀리거나 헷갈리는 맞춤법들이 많이 있습니다. 오늘 알아볼 맞춤법은 와 입니다. 대물림(O) 되물림(X)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대물림'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대물림"은 사물이나 가업 따위를 후대의 자손에게 남겨 주어 자손이 그것을 이어 나감. 또는 그런 물건. 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자주 쓰는 예시) 1. 가난이 대물림되다. 2. 나의 상처를 아이에게 대물림하지 않으려면 3. 여기 짜장면 집은 삼대째 대물림되어 내려오고 있다. 4. 우리 집은 대물림으로 이어받은 재산(땅)이 많다. 5. 이 그림은 할아버지 때부터 내려온 우리 집안의 대물림이다. 등이 있습니다. "되물림"은 국어사전에 없는 단어로 틀린 맞춤법입니다! 자주 사.. 2022. 7. 29.
새다 vs 세다 뜻 차이 예시로 쉽게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일상생활에서 대화를 하거나 문자, 카톡 등을 하다 보면 자주 틀리거나 헷갈리는 맞춤법들이 많이 있습니다. 오늘 알아볼 맞춤법은 와 입니다. 세다와 새다는 모두 올바른 맞춤법입니다. 언제 '세다'를 쓰고 '새다'를 쓰는지 간단하고 쉽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세다는 1. 힘이 많다. 2. 행동하거나 밀고 나가는 기세 따위가 강하다. 3. 물, 불, 바람 따위의 기세가 크거나 빠르다. 4. 능력이나 수준 따위의 정도가 높거나 심하다. 5. 사물의 감촉이 딱딱하고 뻣뻣하다. 6. 운수나 터 따위가 나쁘다. 7. 물에 광물질 따위가 많이 섞여 있다. 의 여러 가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자주 쓰는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1) 형이 동생보다 힘이 세다. 2) 비가 많이 와서 물살이 세다. 3).. 2022. 7. 17.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