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쓰는 동물관련 속담들을 알아보겠습니다.
1. 양두구육(羊頭狗肉): 양 머리를 걸어놓고 개고기를 판다는 뜻으로, 겉과 속이 다르다는 뜻
2. 호사유피(虎死留皮):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긴다는 뜻으로, 사람도 명예를 소중히 여겨야 한다는 의미
3. 토사구팽(兎死狗烹): 토끼를 잡고 나면 사냥개를 삶는다는 말로 쓸모가 있을 적에는 요긴하게 쓰다가 목적을
다 이루고 나면 헌신짝처럼 버린다는 뜻
4. 호가호위(狐假虎威): 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빌린다는 뜻으로 남의 권세에 빌붙어 거들먹거리는 태도를 비웃는 말.
5. 군계일학(群鷄一鶴): 무리 지어 있는 닭 중에 한 마리의 학이라는 뜻으로
평범한 사람들 중에 뛰어난 한 사람이 있다는 의미
6. 조족지혈(鳥足之血): 새 발의 피라는 뜻으로, 매우 적은 양을 의미
7. 구우일모(九牛一毛): 아홉 마리 소 중에 하나의 털이라는 뜻으로, 아주 큰 것 중의 작은 것을 의미
8. 지록위마 (指鹿爲馬): 윗사람을 농락하고 권세를 함부로 부리는 것을 비유한 말
9.교각살우 (矯角殺牛): 소의 뿔 모양을 바로 잡으려다 소를 죽인다는 뜻으로 작은 흠이나 결점을
고치려다가 도리어 일을 그르친다는 의미
10. 연목구어 (緣木求魚): 나무에 올라가서 물고기를 얻으려고 한다는 뜻으로 목적과 수단이 맞지 않아
불가능한 일을 굳이 하려 함을 비유하는 말
11. 마이동풍(馬耳東風): 말 귀에 동풍이라는 뜻으로 남의 말을 전혀 귀담아 듣지 않는다는 의미
12. 우이독경(牛耳讀經): 소 귀에 경 읽기라는 뜻으로 아무리 가르쳐도 소용없다는 의미
13. 견원지간(犬猿之間): 개와 원숭이의 사이라는 뜻으로 사이가 아주 나쁜 관계를 의미
14. 용두사미 (龍頭蛇尾): 시작은 좋았다가 갈수록 나빠지는 것을 이르는 말
15. 정중지와 (井中之蛙): 우물 안 개구리라는 뜻으로 식견이 좁음을 비유하는 말
16. 수어지교 (水魚之交): 매우 친밀하여 서로 떨어질 수 없는 사이
17. 계란유골(鷄卵有骨): 계란에 뼈가 있다는 뜻으로 운이 나쁜 사람은 어쩔 수 없다는 의미
18. 노마지지(老馬之智): 늙은 말의 지혜라는 뜻으로 경험이 많은 사람의 지혜를 의미
19. 양호유환(養虎遺患): 호랑이를 길러 화를 남긴다는 뜻으로 스스로 화를 자초한다는 의미
20. 천고마비(天高馬肥): 하늘이 높고 말이 살찐다는 뜻으로 가을철을 의미
21. 호연지기(浩然之氣): 호랑이와 같은 기백이라는 뜻으로 호방하고 굳센 기상을 의미
22. 견마지심(犬馬之心): 개나 말이 주인을 위하는 마음이라는 의미로 신하나 백성이 임금에게 충성을
다하여 몸을 바치는 마음을 뜻함
23. 견마지양(見馬之養): 부모를 공경하는 마음없이 물질적으로만 봉양하는 것은 진정한 효도가 아니라는 뜻
24. 호시탐탐 (虎視耽耽): 방심하지 않고 상황을 지켜볼 때 쓰는 말
25. 기호지세(騎虎之勢): 호랑이를 타고 있는 형세라는 뜻으로, 이미 시작한 일을 중도에 그만둘 수 없는 상황을 의미
26. 새옹지마(塞翁之馬): 변방 노인의 말이라는 뜻으로 인생의 길흉화복은 예측하기 어렵다는 의미
27. 중마고우(竹馬故友): 대나무 말을 타고 놀던 옛 친구라는 뜻으로 어릴 때부터 친하게 지낸 오래된 친구를 의미
28. 토사호비(兎死狐悲): 토끼가 죽으니 여우가 슬퍼한다는 뜻으로 같은 처지의 사람의 불행을 슬퍼함을 의미
29. 당랑거철(螳螂拒轍): 사마귀가 수레바퀴를 막는다는 뜻으로 자기 힘을 생각하지 않고
강한 적에게 함부로 덤비는 것을 의미
30. 용호상박(龍虎相搏): 용과 호랑이가 서로 싸운다는 뜻으로 강자끼리 서로 싸우는 것을 의미
31. 계명구도(鷄鳴狗盜): 닭 울음과 개 도둑질이라는 뜻으로 비천한 재주를 가진 사람도 쓸모가 있음을 의미
32. 어로불변(魚魯不辨): 물고기와 노자를 구분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글자를 잘 모르는 사람을 의미
[인간관계 속담] 자주사용하는 사람 관련 속담 50가지
속담중에 사람(인간 관계)과 관련된 속담들을 알아보겠습니다. 1. 열 길 물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의 속은 모른다. 사람의 마음을 헤아리는 것은 몹시 어려운 일이라는 뜻. 2. 사람은
jeong98.tistory.com
'정보 >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행기 탈 때 기내 반입 가능한 캐리어 크기와 무게 항공사별로 총정리! (0) | 2025.01.28 |
---|---|
가결 vs 부결 뜻 차이!! (1) | 2024.12.15 |
[인간관계 속담] 자주사용하는 사람 관련 속담 50가지 (2) | 2024.05.16 |
면 10수, 20수, 30수 차이 총정리! (두께감, 특징) (0) | 2024.04.16 |
양력 음력 차이 간단 요약! (0) | 2024.02.14 |
댓글